웹하드?
사용자가 인터넷에 파일을 저장하고 보관하는 곳
웹서버 설치와 운영(frog11.tistroy.com/19), XE를 활용한 웹사이트 구축(frog11.tistory.com/20)을 이어서 한다.
AjaXplorer을 다운로드하고 웹서버의 홈 디렉토리에 압축을 푼다.
http://sourceforge.net/projects/ajaxplorer/files/pydio/stable-channel/6.0.2
또는 http://pyd.io/download/ 에서 다운로드 하자.
/var/www/html/ 디렉토리로 이동하고 다운로드한 파일을 복사한 다음 압출은 푼다. 압축을 푼 디렉토리의 이름을 기억하기 쉽게 ‘webhard’로 변경하자.
cd /var/www/html mv /root/다운로드/pydio* ./ (제일뒤에 . 있음) tar xfz pydio* mv pydio-core-6.0.2 webhard |
/var/www/html/webhard/ 디렉토리와 그 하위 디렉토리에 접근할 수 있게 속성과 소유자를 변경하자.
chmod 707 webhard -> 소유주와 기타 사용자에게 읽기/쓰기/실행 허용 chown –R apache.apache webhard ->webhard 디렉토리와 그 하위 디렉토리의 소유자 및 그룹을 apache로 변경 |
이제 본격적으로 웹하드를 설정하자. 관련된 패키지를 설치한다.
yum –y —skip-broken install php-* ->일부 오류를 무시함 yum –y install epel-release ->Redhat Enterprise 7의 Extra 파일도 yum명령으로 설치되도록 해줌 yum –y install php-mcrypt -> CentOS 7에는 없으며, Redhat Enterprise7에서 제공된다. |
vi 에디터로 /etc/httpd/conf/httpd.conf 파일을 열고 <Directory “/var/www/html”> 내의 AllowOverride(약 151행) 옵션이 All로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systemctl restart httpd를 입력한다.
웹브라우저를 실행한 후 http://192.168.109.128/webhard/ 에 접속 [click hear to continue to pydio]를 클릭
언어를 한국어로 바꾸고 [Start wizard] 클릭
[Admin access]에서는 [ADMIN LOGIN]에 관리자의 아이디를, [Admin Display Name]에 관리자 이름을, [ADMIN PASSWORD]와 [CONFIRM]에 비밀번호를 설정하자.
[Global options]에서는 [APPLICATION TITLE]과 [WELCOME MESSAGE]는 그냥 두거나 적당히 변경하고, [DEFAULT LANGUAGE]는 [한국어]로 변경하자. [ENABLE EMAILS]는 [No (you can enable mails later)] 그대로 두자.
[Configurations storage]에서 [STORGE TYPE]은 [Database System (production ~~)]을 선택하자 [DATABASE]는 ‘MySQL’을, [HOST]는 localhost를, [DATABASE]는 ‘xeDB’를, [USER]는 xeUser를, [PASSWORD]는 1234를 입력하고 <Try connecting to the database>를 클릭해서 테스트 한다. 아래쪽에 ‘Connexion established!’라고 메시지가 나오면 된다.
[Add some users]에서는 웹하드 일반 사용자를 추가하자 [LOGIN]에는 사용자 아이디를 생성하고 (여기에서는 ‘centos’라고 했다.) [USER EMAIL]에는 현재 사용하는 이메일 주소를 하나 입력한다. [USER NAME]에는 사용자 이름을 입력하고 [PASSWORD]와 [CONFIRM]에는 적당한 비밀번호를 입력한다.(여기서는 ‘1234’로 설정했다).
웹브라우저를 종료하고 다른 pc에서 http://192.168.109.128/webhard 를 접속해서 centos사용자로 접속하자
업로드를 통해 파일을 업로드 할 수 있다. 파일위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눌러 다운로드를 할 수 있고 오른쪽 탭을 통해서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메뉴의 제일 오른쪽 <+ 새 폴더>를 클릭하면 새 폴더나 빈 파일을 생성할 수도 있다.
하지만 2MB가 넘는 파일은 ‘파일이 너무 큽니다’라는 메시지와 함께 업로드가 되지 않는다.
웹서버의 php 설정이 2MB보다 큰 파일을 업로드 할 수 없게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웹서버의 설정을 변경해보자.
vi 에디터로 /etc/php.ini 파일을 열고, 다음 소개하는 행을 수정하자
약 384행 : max_execution_time = 30 ->300
약 672행 : post_max_size = 8M ->10000M
약 800행 : upload_max_filesize = 2M ->10000M
/var/www/html/webhard/data/cache/ 디렉토리로 이동한 다음 rf –f plugin*을 입력해서 캐시파일을 삭제 한다
systemctl restart httpd를 입력해 웹서비스를 다시 시작한다.
자신의 파일을 외부에 공개할 경우
공개할 파일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한 후 바로가기 메뉴에서 [공개 링크]를 선택
[공개 링크]에서 <링크 생성>을 클릭하고, [WebLink]에 링크가 생성되면 링크를 복사한다.
어느 곳이든 웹브라우저를 열고 주소창에 복사한 링크를 입력하면 별도의 로그인 없이 공개한 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 참고 : 이것이 리눅스다(한빛미디어)
'IT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런레벨 (Run Levels) (0) | 2017.02.01 |
---|---|
HP server OS install / HP서버 운영체제 설치 (0) | 2017.01.25 |
XE를 활용한 웹 사이트의 구축 (0) | 2017.01.23 |
웹서버 설치와 운영 (0) | 2017.01.23 |
프록시 서버 개념 및 실습 (0) | 2017.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