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리눅스

XE를 활용한 웹 사이트의 구축

by Itlee 2017. 1. 23.
반응형

XE?

XE(XpressEngine)은 게시판 오픈소스로 유명한 제로보드가 발전된 형태이며, 현재는 커뮤니티에서 많은 개발자가 기능을 추가 개발해서 업로드하고 있다. 대부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이전페이지 웹서버 설치와 운영(http://frog11.tistory.com/19)을 이어서 한다.

 

XE를 사용하려면 php, gd, php-gd, xml-common 등이 있어야 한다. 이 중에서 Server에는 php-gd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yum y install php-gd’를 입력해 설치한다

 

httpd.conf 파일의 설정을 변경해야 정상적으로 XE를 사용할 수 있다. vi에디터로 /etc/httpd/conf/httpd.conf 파일을 열고 <Directory “/var/www/html”> ~ </Directory> 안에서 151 행쯤에 있는 ‘AllowOverride None’‘AllowOverride All’로 수정하자.

 

systemctl restart httpd를 입력해 재실행하자.

 

XE를 설치하자. 웹브라우저에서 http://www.xpressengine.com/ 에 접속해 [Download] -> [XE 자료실]을 선택 한 후 왼쪽 위에 있는 검색 상자에서 ‘XE core’를 검색한 다음 결과에서 [XE Core]를 클릭한다. [XE Core]페이지가 나타나면 페이지 중간에 있는 [모든 버전 보기]를 클릭해 버전 1.8.29XE core파일을 다운로드 하자.

 

/var/www/html 디렉토리로 이동하고, 다운로드한 파일을 이동하고 압축을 풀자.

cd /var/www/html
mv /root/다운로드/xe* . (뒤에 . 있음)
ls l
unzip xe*

 

xe 디렉토리의 퍼미션은 707로 변경한다.

 

게시판 모듈 압출 파일을 XE 홈디렉토리 (/var/www/html/xe) 아래 ‘modules’ 디렉토리에 board라는 디렉토리가 있는지 확인하자. 이 디렉토리는 게시판 용도로 사용된다.

 

cd /var/www/html/xe/modules/

ls

 

MariaDB에 접속해서 다음 명령과 SQL문을 입력해 XE에서 사용할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xeUser를 만들고, xeDB라는 데이터베이스도 만든다.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 이름은 임의로 지정한 것이다.

#mysql
MariaDB [none] > GRANT ALL PRIVILEGES ON xeDB.* TO xeUser@localhost IDENTIFIED BY ‘1234’;
MariaDB [none] > exit
mysql u xeUser p1234
MariaDB [none] > CREATE DATABASE xeDB;
MariaDB [none] > exit

 

웹브라이저를 실행해서 http://192.168.109.128/xe/ 에 접속한다. [설치 언어 선택]에서 언어를 [한국어]로 선택하고 [다음]을 클릭한다.

    ※나중에 관리자 홈페이지로 다시 접속하려면 http://192.168.109.128/xe/admin 으로 접속하면 된다.

[사용권 동의]에서 동의하고 <다음>을 클릭한다.

[설치 조건 확인]에서는 모든 필수 설치 조건이 만족되었는지를 확인한다.

XE의 설치 경로 또는 ./files 디렉토리의 퍼미션이 707이어야 한다. 이러한 오류가 발생할 경우 터미널에서 ‘setenforce 0‘을 입력해준다.

[DB 선택]에서는 사용하려는 데이터베이스는 세 번째[mysql]을 선택하고 <다음>을 클릭한다.

[DB 정보 입력]에서는 [DB 아이디]‘xeUser’, [DB 비밀번호]‘1234’, [DB이름]‘xeDB’를 입력한다.

[환경 설정]에서는 시간을 한국시간으로 변경하고 <다음>을 클릭한다.

[관리자 정보 입력]에서는 관리자의 정보를 적절히 입력한다. 중요한 것은 이메일 주소와 비밀번호다. 이메일 주소는 실제로 있는 계정이 아니어도 상관없다.

 

설치가 완료된 화면이다.

 

아래쪽으로 스크롤하면 웹사이트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내용이 나온다. 이것과 관련하여 사이트를 내 마음대로 디자인해보자.

 

예를 들어 자료실을 만들어 본다면 [관리] -> [사이트 제작/편집] -> [사이트 메뉴 편집]을 선택해 그림과 같이 welcome menu를 클릭 메뉴추가, 게시판, 메뉴이름 메뉴ID를 설정해 추가해주자.

 

 

이 자료실의 용량의 한도는 2MBdefault가 설정되어있다. 만약 2MB 이상의 파일을 업로드 하려면 PHP 설정을 변경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 CentOS 7에 포함된 APMXE최신 버전은 약간의 호환성 문제가 있어 2MB 이상의 파일 업로드 설정이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파일첨부 버튼이 동작을 하지 않을 경우 flash player를 설치 해준다.

 

# 참고 : 이것이 리눅스다(한빛미디어)

반응형

'IT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HP server OS install / HP서버 운영체제 설치  (0) 2017.01.25
웹하드 설치와 운영  (0) 2017.01.23
웹서버 설치와 운영  (0) 2017.01.23
프록시 서버 개념 및 실습  (0) 2017.01.23
PXE 정의 및 실습  (0) 2017.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