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리눅스

리눅스 네트워크 명령어

by Itlee 2017. 2. 6.
반응형

 

ip : 통합 네트워크 설정 프로그램

 

ip link : 네트워크 연결 확인

 

ip addr : 네트워크 IP 확인

 

ip route : 라우팅 테이블 확인

 

ifconfig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및 확인

MAC주소, eth0에 할당된 IP주소, 브로드캐스트, 서브넷마스크, MTU, RX packets, TX packets, Collisions 등을 확인 할 수 있다.

 

netstat : 인터페이스 통계 및 기타 정보 확인

-a --all과 같으며 listen 되는 소켓정보와 listen 되지 않는 소켓정보 모두 보여줌
-n --numeric과 같으며 10진수의 수치정보로 결과를 출력해준다.
-r --router과 같으며 섲렁된 라우팅 정보를 출력해준다.
-p --programs와 같으며 실행되고 PID정보를 출력한다.
-i --interface=eth0과 같으며 모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정보를 출력함. 또는 특정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정할 수 있음
-c --continuous와 같으며 netstat 결과를 연속적으로 출력한다
-l --listening과 같으며 listen 되고 있는 소켓 정보를 출력한다.
-s --statistics와 같으며 각 프로토콜에 대한 통계정보를 출력한다.


 

route : 라우팅 테이블 확인 및 설정

라우팅 경로를 보거나 변경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명령어이다. 주로 이더넷 카드를 설정할 때 패킷들이 어떠한 경로로 외부로 나가야 하는지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라우팅 테이블 확인
route, route -n
새로운 라우팅 테이블 추가
route add -net 네트워크 주소 netmask 넷마스크 [dev 인터페이스]
route add -net 192.168.10.0 netmask 255.255.255.0 dev eth1
기존 라우팅 테이블 제거 작업
route del -net 네트워크주소 netmask 넷마스크 [dev 인터페이스]
route del -net 192.168.10.0 netmask 255.255.255.0 eth1
기본 게이트웨이 추가 작업
route add default gw 기본게이트웨이 주소 dev 인터페이스명
route add default gw 192.168.10.1 eth1
기본 게이트 웨이 제거 작업
route del default gw 기본게이트웨이 주소 dev 인터페이스명
route del default gw 192.168.10.1 eth1
루프백 인터페이스 추가 작업
ifconfig lo 127.0.0.1
route add -net 127.0.0.0

 

ping : 원격 호스트 응답 테스트

-t Ctrl+c 로 중단시키기 전까지 계속 ping 패킷을 보낸다.
-a 도메인네임의 IP주소를 보여준다.
-n count Ping 패킷을 몇 번 보낼지 패킷 수를 지정한다.
-l size Ping 패킷 크기를 지정한다.
-f 요구 패킷이 라우터 등을 통과할 경우, 나누어지지 않게 한다.
-i TTL 사용할 TTL 값을 설정한다.
-v TOS 패킷의 TOS를 지정하는 값으로 설정한다.
-r count Count에 지정한 값만큼 라우터의 경로를 보여준다.
-s count Count에 지정한 값만큼 라우터의 주소와 시간을 기록한다.
-j host-list 리스트의 컴퓨터를 통해서 패킷의 경로를 정할 수 있다.
-k host-list J와 같은 역할을 하지만 연속적인 컴퓨터의 경우, 중간 게이트를 구분할 수 없다.
-w timeout 대상 호스트의 응답을 기다리는 시간을 지정한다.

 

arp : ARP 테이블 관리

-a ARP 캐쉬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호스트 정보를 출력한다.
-s ARP 캐쉬 테이블에 저장된 특정 IP에 대한 MAC 주소를 변경한다.
-d ARP 캐쉬 테이블에 저장된 특정 MAC 주소를 삭제한다.
-i eth0과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지정한다.
-n Resolving을 하지 않고 IP주소를 출력한다.
-v 자세한 모드(verbose)로 결과를 출력한다.

동일한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호스트들의 IP주소와 ethernet 주소를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 특정 네트워크 내에 어떤 호스트들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 바로 arp 명령어이다.

 

nslookup : 도메인 네임 서버 질의

반응형

'IT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cp 명령어  (0) 2017.02.06
리눅스 사용자 관리 명령어  (0) 2017.02.06
RHEL 6.x 설치  (1) 2017.02.01
런레벨 (Run Levels)  (0) 2017.02.01
HP server OS install / HP서버 운영체제 설치  (0) 2017.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