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DSA사용법
IBM Server DSA 다운로드 링크
www.ibm.com/support/pages/ibm-dynamic-system-analysis-dsa
Lenovo DSA 다운로드 링크
support.lenovo.com/kr/ko/solutions/lnvo-dsa
벤더사 IBM, Lenovo 서버의 하드웨어의 상태나 에러로그 등등 확인할 수 있는 tool을 제공한다.
해당 링크에 들어가게되면 서버별 os별 정리가 되어있다.
윈도우서버 기준으로 정리하였다. 리눅스 방법도 동일하다.
1. DSA 다운로드 후 해당서버의 C드라이브, 리눅스의 경우 / 디렉토리에 복사해준다.
2. cmd를 관리자모드로 실행
3. cd C:\
4. dsa 파일명 -v 옵션으로 실행
5. 하드웨어 및 서버의 정보들을 취합 후 IBM server의 경우 IBM_Support Lenovo서버의 경우 enovo_Support 폴더 안에 생성된다.
6. 각 벤더사의 폴더 안에 서버의 "머신타입_시리얼넘버_오늘날짜_시간"의 규칙으로 된 폴더가 하나 더 생긴다.
해당 폴더 안 index.html을 실행 후 IPMI EVENT를 확인하면 하드웨어 장애 상태를 확인 가능하다.
반응형
'IT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S와 SATA: 속도와 성능의 차이 알아보기 (0) | 2024.08.22 |
---|---|
쿠버네티스 설치 kubernetes install (0) | 2021.06.03 |
San 명령어 및 SAN zoning excel 파일 (0) | 2020.11.10 |
Netapp storage disk replacement ( 넷앱 스토리지 디스크 교체) (0) | 2020.11.04 |
storage migration 실습 (0) | 2017.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