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ll Server OS 설치
장비 : R630
OS : Windows Server 16 Standard
단계 RAID 구성 –> OS 설치 –> OS데스크톱 기본 작업
RAID 구성
|
서버 부팅을 하면서 F10 눌러 LifeCycle Controller를 실행 후 System Setup 선택 |
|
Device Settings 선택 |
|
Raid Controller 선택 |
|
Configuration Management 선택 |
|
Clear Configuration |
|
Confirm 체크 후 확인 |
|
Create Virtual Disk 선택 |
|
레이드 레벨 선택 후 Select Physical Disk 선택 |
|
레이드를 설정할 디스크 선택 후 Apply Changes 클릭 |
|
Virtual Disk Name 입력, Size도 필요에 따라 입력 |
|
Create Virtual Disk 선택 |
2. OS 설치
메인 화면에서 OS Deployment 선택 후 Deploy OS 선택 |
Raid를 구성하지 않았다면 Configure Raid First 선택 구성하였다면 Directly to Os Deployment 선택 |
Boot Mode 선택 후 운영체제 선택 |
※UEFI와 BIOS
UEFI(Unified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통일된 확장 펌웨어 인터페이스라고 한다.
BIOS는 텍스트 기반의 화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UEFI는 그래픽 기반의 화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UEFI가 BIOS의 후속작으로 UEFI는 드라이버도 같이 업로드 된다. 또 부팅속도도 빠르다. 하지만 서버에서 시간이 돌아가는 버그를 가지고 있다. 보통 1U크기의 서버는 BIOS부팅을 사용한다.
Manual Install 선택 |
next |
설정 확인 후 Finish |
재부팅이 되면서 윈도우 서버를 설치한다.
부팅이 완료 된 후 데스크톱의 설정들을 해준다.
순서는 상관없이 방화벽 해제, 사용자추가, 바탕화면 아이콘 보이기, .NetFramework3.5, 정품키 인증, PC 이름변경, 원격데스크톱 설정을 해준다.
다른 설정 충돌을 막기 위해 임시적으로 방화벽을 해제 |
정품키 인증
내PC 우측클릭 -> 속성 -> 제품키 변경 |
원격 데스크톱 설정
내PC 우측클릭 -> 속성 -> 원격 설정 -> 이 컴퓨터에 대한 원격지원 연결허용 체크 |
PC이름변경
| |
내PC 우측클릭 -> 속성 -> 고급시스템 설정 -> 변경 |
RAID로 나눈 하드디스크 마운트
| |
윈도우버튼 -> diskmgmt.msc 입력 -> 단숨 볼륨 만들기 -> 마운트 |
.NET Framework3.5 설치
서버관리자 -> 대시보드 -> 역할 및 기능 추가 -> .NET Framework3.5 기능 선택 |
'IT > 현장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Lenovo XClarity Essentials OneCLI: 통합 서버 관리 솔루션 (0) | 2025.02.19 |
---|---|
서버 내 CMOS 배터리의 역할과 중요성 (0) | 2024.11.21 |
zoning (0) | 2019.01.18 |
시스템 엔지니어가 하는 일 (0) | 2017.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