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엑셀은 사용자가 작업 중 실수로 저장하지 않고 파일을 닫더라도, 자동 복구 기능을 통해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아래의 단계를 따라 복구를 시도해 보세요.
1. 엑셀 실행 후 '파일' 탭 클릭
엑셀을 실행한 후 상단의 '파일' 탭을 클릭합니다.
2. '열기' 선택 후 '최근에 사용한 통합 문서' 클릭
'열기' 메뉴를 선택한 후, 왼쪽 사이드바에서 **'최근에 사용한 통합 문서'**를 클릭합니다.
- TIP: '최근에 사용한 통합 문서'는 최근에 열었던 문서 목록을 보여줍니다.
3. '저장되지 않은 통합 문서 복구' 클릭
화면 하단에서 '저장되지 않은 통합 문서 복구' 버튼을 찾아 클릭합니다.
4. 복구할 파일 선택 후 열기
자동 복구된 파일 목록이 나타나면, 복구하려는 파일을 선택한 뒤 **'열기'**를 클릭합니다.
5. 파일 저장
파일이 정상적으로 열리면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눌러 원하는 위치에 파일을 저장하세요. 이렇게 하면 중요한 작업이 손실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습니다.
자동 복구 기능 설정 확인하기
자동 복구 기능이 제대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다음 방법을 따라 설정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변경해 보세요.
자동 복구 기능 설정 방법
- 엑셀에서 '파일' 탭 클릭 > '옵션' 선택.
- '저장' 메뉴에서 **'자동 복구 정보 저장 간격'**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자동 저장 간격을 5분 정도로 설정하면,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추가 팁: 데이터 손실을 예방하는 방법
- 수시로 저장하기: 중요한 작업을 할 때는 습관적으로 저장 버튼을 누르는 것이 좋습니다.
- 자동 저장 간격 단축: 자동 복구 기능을 사용 중일 때, 간격을 짧게 설정하면 더 자주 데이터를 백업할 수 있습니다.
결론
실수로 저장하지 않고 닫은 엑셀 파일도 복구할 수 있습니다. 평소 자동 복구 기능이 잘 작동하도록 설정해두고, 수시로 저장하는 습관을 들이면 데이터 손실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반응형
'IT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ID 컨트롤러의 가상 디스크 캐시 설정 옵션 설명 (0) | 2024.11.18 |
---|---|
metro mirror와 global mirror 비교 (0) | 2024.11.15 |
Vmware ESXi 인벤토리에서 제거, 디스크 삭제 차이 (0) | 2024.11.12 |
SAS와 SATA: 속도와 성능의 차이 알아보기 (0) | 2024.08.22 |
쿠버네티스 설치 kubernetes install (0) | 2021.06.03 |